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ap함수
- html
- bold처리
- 연산자
- html 색상적용
- js
- vue
- css 길이단위
- 산술연산자
- React
- Linux
- css 적용방법
- em rem 차이
- html 화면 이동
- nvm
- html 요소 속성
- css 색상변경
- form 주요 태그
- fullpage
- node
- 느슨한 비교
- html 엔터 입력
- 엄격한 동등비교
- vue3 fullpage
- html link
- js 연산자
- vue fullpage
- html 이미지 표출
- CSS
- javascrip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7)
dev_or_alive

비교 연산자란?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해서 true(참)인지 false(거짓)인지 판단하는 데 사용이 됩니다.예를 들어 숫자 두 개가 같은지, 문자열이 동일한지, 어떤 값이 더 큰지 등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비교 연산의 결과는 항상 참(true), 거짓(false)의 boolean값이 됩니다. ✅ 자주 쓰이는 비교 연산자들1. == (느슨한 동등)두 값이 같은지 확인합니다. 자료형은 무시하고 비교합니다.느슨한 동등 비교 연산자는 다양한 타입간에 비교 연산시 ‘자동 형변환’을 시도하면서 비교합니다.이로인하여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낼 수도 있기 때문에, “엄격한 동등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는게 더욱 좋습니다. console.log(5 == 5); // true console.log(5 == "5")..

JavaScript에서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s)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JavaScript의 대입 연산자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1. 기본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이며,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변수에 값을 할당let a = 5;a에 5를 저장📌 예제let x = 10; // x에 10을 할당let y = x; // y에 x의 값(10)을 할당console.log(y); // 10 출력 2. 복합 대입 연산자복합 대입 연산자는 변수의 현재 값을 연산한 후 같은 변수에 다시 할당하는 역할을 합니다.+=더하고 할당x += 3;x = x + 3-=빼고 할당x..

JavaScript에서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는 숫자 값을 연산할 때 사용됩니다.주요 산술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산술 연산자기본적인 덧셈,뺄셈,곱셈,나눗셈 연산이 있습니다.추가적으로 나머지 연산으로 나머지를 구할수 있고 ES6에서는 거듭제곱 연산이 추가되었습니다. +덧셈5 + 38-뺄셈10 - 46*곱셈6 * 212/나눗셈9 / 33%나머지10 % 31**거듭제곱 (ES6)2 ** 38🔄 2. 증가/감소 연산자증감 연산자는 계산이후 덧셈/뺄셈을 해주거나 또는, 덧셈/뺄셈을 해준 이후 계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증가 (증가 연산자)let a = 5; a++;a = 6--1 감소 (감소 연산자)let b = 3; b--;b = 2📌 전위 / 후위 ..

📌 JavaScript 연산자(Operators) 가이드 🚀JavaScript에서 연산자(Operator)는 값을 계산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연산자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활용법을 예제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1️⃣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자의 개념연산자(Operator)는 값을 연산(계산)하거나 비교, 논리적 조작을 수행하는 기호입니다.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다루고 조작할 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연산자의 기본 구조let result = 10 + 5;+ → 연산자 (Operator)10, 5 → 피연산자 (Operand)result →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변수2️⃣ JavaScript 연산자의 종류연산자는 크게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연산자 종류..

JavaScript 객체(Object) 가이드 🚀초보자를 위한 쉬운 개념 정리!JavaScript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객체(Object) 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객체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객체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설명해보겠습니다.1️⃣ 객체(Object)란 무엇인가?📌 객체란?객체(Object)는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값을 하나로 묶을 수 있습니다.배열이 순서대로 값들을 저장하는 반면, 객체는 key: value (키-값)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객체의 기본 구조const person = { name: "홍길동", age: 25, job: "개발자"};name, age, job → 속성(프로퍼티, Prope..

배열이란?여러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객체타입의 데이터 구조입니다.⇒ 박스 여러개를 일렬로 나열해 둔 것.하나의 변수 안에 여러개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각 데이터는 번호(index)로 접근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Javascript에서의 배열은 한 배열안에 여러개의 자료형을 모두 넣을 수 있습니다. 선언 방법배열을 선언하는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리터럴 방식과 생성자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리터럴 방식으로 선언하기리터럴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표현식const arr = [1, 2, 3, 4, 5];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직관적입니다.생성자를 이용하여 선언하기const arr = new Array(1, 2, 3, 4, 5); // 생성자 방식 선언특별한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예시 :..

Javascript에서 자료형이란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를 의미합니다.크게 원시 자료형(Primitive)과 참조 자료형(Reference)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원시 자료형원시 자료형은 값 자체가 변하지 않는 불변의 데이터입니다. 주요 원시 자료형은 다음과 같습니다Number : 숫자 타입 ( 42, 3.14, 0 , … )String : 문자 타입 ( “가나다라”, “ABC”, … )Boolean : 논리 타입 ( true, false )Null : 값 없음 (null)Symbol : 고유하고 변경 불가능한 값BigInt : 매우 큰 정수참조 자료형참조 자료형은 객체를 가리키며, 데이터 자체가 메모리 상의 다른 위치에 저장됩니다. 주요 참조 자료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Object: 여..

프로그래밍에서 변수와 상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변수나 상수가 없을 경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으니 계산이 많거나복잡한 로직은 물론이고 코드를 길게 작성하는 것도 불가능 할 것입니다. 변수에 대해 쉽게 생각하자면, 이름표를 붙인 상자에 원하는 값을 저장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름표:변수명, 원하는 값: Data) 변수(Variable) 변수를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실행 중에 데이터(값)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또한 저장공간에 대해 이름을 부여하여 필요할 때 해당 이름을 호출하여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키워드 변수와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는 var, let, const 세 가지가 있으며 각각 특성과 용도가 다릅니다.기본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