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집이 아닌 다른 곳을 가거나 회사에서 집 데스크탑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평소 아이패드+키보드를 자주 들고 다니므로 원격으로 이용하는데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항상 컴퓨터를 켜놓고 다닐수는 없었기에 원격으로 부팅하는 WOL기능을 이용하였는데
데스크탑을 바꾸었더니 적용이 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결국 이것저것 만지다가 해결이 되었는데 해당 글에서는 WOL기능을 적용하지는 방법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않고
WOL이 무엇인지와 해결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기능 적용 방법은 링크 참조)
WOL ?
WOL은 Wake On Lan의 줄임말이며 PC를 원격(On Lan) 으로 키는(Wake) 기능을 말한다.
물리적 전원 버튼이 아닌, Lan을 통한 신호로 PC를 깨워주며 이 신호를 매직 패킷이라고 한다.
제한사항
- 반드시 유선 연결 되어 있어야 한다.
- PC 네트워크 카드가 WOL을 지원해야 한다.-> 웬만한 PC는 지원한다고 함.
기능 설정 방법
나는 다른 블로그 글을 따라했기 때문에 해당 글을 링크
https://lognam.tistory.com/m/44
여러가지 블로그들을 돌아다녀 봤는데 위 블로그에서 가장 설명을 잘 해준 것 같다 !
공유기 설정은 거의 다 비슷비슷한데 BIOS 설정하는 부분이나 랜카드 설정하는 부분을 더 자세히 설명해준 것 같다.
문제발생
위 블로그에서 기술한 모든 내역과 인터넷에 있는 대부분의 WOL 기능 설정을 다 해보았는데도
WOL 기능이 적용되지 않았다..
이전에 사용하던 데스크탑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하여도 현재 데스크탑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았다.
동일한 인터넷으로 연결하여서 부팅해도 적용이 되지 않는걸 보니 공유기를 잘못 설정한건 아닌걸로 보였다.
그래서 BIOS쪽에서 하나씩 읽어보며 눌러보았다...
문제해결
참조링크
결론부터 말하자면 컴퓨터가 너무 깊게 잠들어서(Deep Sleep) 신호를 줘도 깨어나지 못하는 걸로 보인다.
해결 방법은 BIOS 세팅 - power management - Deep Sleep Control을 disabled로 설정해주었다.
전원을 종료해도 너무 깊게 잠들지 못하게 설정을 바꿔주었다. (절전 상태 변경)
S4,S5등의 용어들이 있는데 해당 내용은 ACPI 레벨을 절전 상태에 따라 구분한 것 같으로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다 (https://m.blog.naver.com/pinokyo75/120037232267)
'etc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에서 반드시 필요한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1.24 |
---|---|
[IT용어집] On-Premise란? (0) | 2022.10.24 |